시민의 교양2 인구 - 고령화 사회를 중심으로 안녕하세요. 오늘은 경제에서 인구가 끼치는 영향을 고령화 사회 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얘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한국 경제가 디플레이션 위기에 처했는데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그 중에는 고령화사회가 되어가기 때문도 있습니다. 여기서 고령은 몇 세를 의미하는 것일까요? 우선 고령을 알아보려면 경제활동인구부터 알아보아야 합니다. 경제활동인구란 만 15세 이상의 인구 중 일할 의사가 있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포인트는 일할 의사입니다. 일할 의사가 없는 사람까지 포함한 개념을 생산 가능 인구라고 하고 일할 의사가 있는 사람만 경제활동 인구로 취급합니다. 주로 64세까지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평균 퇴직 연령입니다. 우선 한 나라의 경제가 부흥하기 위해서는 경제활동인구가 많아야 합니다. 하지만.. 2019. 9. 10. 환율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오늘은 환율에 대해서 얘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환율이란 국가 간의 통화 교환 비율입니다. 예를 들어 2019년 9월 7일 오후 8시인 지금 기준으로 미국 1달러는 한화 1194원이고 베트남 100동이 한화 5원입니다. 환율은 다른 나라 통화 대비 자국 통화의 가격입니다. 환율이 올랐다는 말은 다른 나라의 통화에 대비해서 우리나라 통화의 가격이 올라갔다는 말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환율은 왜 계속 변하는 것일까요? 환율은 결국 통화의 가치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만약 한국이 경제와 사회 전반적으로 안정화가 되고 새로운 기술도 개발이 된다면 한화는 가치가 높아질 것입니다. 그러면 한화는 다른 통화 대비 가치가 높아지는 것이기에 환율이 낮아지게 됩니다. 원래 1달러짜리 과자를 사기 위해서 120.. 2019. 9.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