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주의4 공산주의 - 최후의 경제체제는 공산주의일 것이다 지난 게시물에서는 신 자유주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신 자유주의는 시장의 자유가 정부의 개입보다 더 큰 경제체제입니다. 그렇기에 빈부격차가 발생하면서 노동계급은 점점 더 살기 힘들어지는 그런 사회가 되어가고 있는 것입니다. 현재는 대부분의 나라가 수정 자본주의나 신 자유주의를 택하여 나라를 이끌어가고 있지만 이러한 불평등으로 인해서 과거에는 공산주의 국가도 많아 자본주의 국가와 대립을 했었습니다. 오늘은 공산주의에 대해서 알아보고 왜 공산주의 국가들이 현재 줄어들었는지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공산주의는 우선 생산수단을 개인이 소유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생산수단을 소유하는 국유화를 실시함으로써 모든 사람은 동등하게 일을 함으로써 빈부격차와 여러 불평등을 없애고 복지를 높이는 경.. 2019. 8. 24. 신 자유주의 - 시장의 자유가 정부의 개입보다 중요하다 수정 자본주의로 인해서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이 발생하고 물가가 상승하게 되고 경기 불황이 일어나게 됩니다. 1970년대 이후 시카고학파를 중심으로 수정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비판하면서 신 자유주의가 등장하여 현재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적용되는 경제체제입니다. 신 자유주의는 정부의 개입을 다시금 줄이고 시장의 자유를 확대하는 정책입니다. 즉, 세금을 낮춤으로써 복지가 낮아지게 되고 부의 불평등이 다시 도래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수정 자본주의에 의해서 직원들을 해고하지 못하고 가격을 인상하던 C는 이제 신 자유주의가 되면서 세금이 줄어들고 노동에 대한 규제가 약화되자 전과 같이 노동자들이 연합하여서 협박을 하는 일이 발생할 것에 대비하여 정식 직원을 뽑지 않고 모두 아르바이트식.. 2019. 8. 22. 후기 자본주의(수정 자본주의) - 시장의 자유보단 정부의 개입이 중요하다 저번 게시물에서 초기 자본주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초기 자본주의는 정부의 개입 없이 시장의 자유를 100%로 두는 경제체제인데 이로 인해서 세계 경제대공황이 오게 되고 이 공황을 이겨내기 위해서 미국은 초기 자본주의를 수정한 형태의 뉴딜정책을 펼치게 됩니다. 뉴딜정책, 수정자본주의란 정부가 개입해서 경제를 운영함에 따라서 시장의 자유가 낮아지지만 국민의 복지가 올라가는 경제체제입니다. 영국의 경제학자 케인스가 제시하였으며 케인스는 시장이 스스로 자기 조절 능력이 있다고 믿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고 지적하였습니다. 정부가 세금을 통해 부를 재분배함으로써, 자본에 의한 독점을 막고 소비가 활성화되도록 보완해야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즉 수정자본주의에서는 시장의 자유도 100%였던 초기 자본주의와 다르게 .. 2019. 8. 22.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경제학의 기초 중 기초인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자본주의와 공산주의를 나누는 기준은 사유재산의 소유 여부입니다. 하지만 공산주의라고 해서 무조건 사유재산의 소유를 인정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공산주의에서도 분명 자신의 집, 자신의 옷 등이 허용되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어떤 사유재산이 기준이 되는 것일까요? 재산은 크게 생산수단과 잉여생산물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생산수단이란 공장과 같이 생산수단을 만들어내는 자산으로 생산수단을 소유하고 있으면 생산물을 끈임없이 만들어내고 축적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반면 잉여생산물은 이미 만들어진 생산물이기에 소비를 하게 되면 사라지는 재산입니다. 즉, 빈부격차의 차이가 발생하는 지점은 생산수단의 소유 여부인 것입니다. 그래서 자본주의.. 2019. 8.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