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저의 다른 글에서도 많이 등장했던 키워드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하여 얘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란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스스로 움직이는 자동차입니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5가지의 레벨을 가지고 있습니다.
레벨 0은 운전자가 모든 행동을 조작하고 운전하는
지금과 같은 형태의 자동차입니다.
레벨 1은 일부 기능을 자동차가 조작하고 운전해서
사용자가 사실상 주도적으로 하는 것입니다.
오토 기어도 이 기능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레벨 2는 고속도로와 같이 비교적 운행이 쉬운 구간만
자동차가 조작하고 운전하는 레벨입니다.
레벨 3는 사용자가 주시를 하되 직접 조작을 하지
않아도 괜찮을 정도의 레벨입니다.
레벨 4는 오래 전부터 사람들이 상상하던
자율주행의 형태로 목적지만 찍으면
자동차가 알아서 조작하는 레벨입니다.
레벨 5는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아도 자동차가
알아서 운전하는 레벨입니다.
레벨 4와 레벨 5가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
혼동되는 분들이 많이 있을 것 같습니다.
우선 레벨 4는 탑승자가 아닌 운전자의 형태로
있고 신경을 쓰지 않더라도 위급상황에서는
개입해서 큰 사고를 방지하도록 해야 하는 단계이고
레벨 5는 정말 운전석에 있지 않아도 될 만큼
즉, 택시를 타듯 탑승자의 마음으로 자동차를 타도 됩니다.
현재 자율주행 자동차의 선두주자는 테슬라입니다.
테슬라는 현재 레벨 4의 자율주행 서비스까지 완성시켰는데
위급상황에서는 사람의 손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테슬라는 자율주행 자동차를 단순히 판매만 하는 것이 아니라
조금 저렴하게 판매하면서 동시에 차량 공유 서비스까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레벨 5가 되면 사람이 없어도 자동차가 스스로 도착지를
알고 주행할 수 있게 되기에 다른 사람과의 공유가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A가 오늘은 휴일이라서 집에서 쉬게 되고
오늘은 자동차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입력하면
가까운 거리에 자동차가 필요한 누군가가 A의 자동차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서비스를 통해서 A도 돈을 벌고 이에 대한 중계권이 있는
테슬라 역시 돈을 버는 진정한 공유사회의 프로세스가 완성되는 것입니다.
또한 추가적인 정보를 말하자면, 현재 테슬라는 전기차를 생산중인데
자동차 자체의 가격은 싸게 판매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로는 전기차의 경우 스마트폰 고속충전과 같이
자동차를 고속충전 할 충전소가 필요하기에
이 충전소를 판매함으로써 이익을 챙기는 방식을 취하고
혹은 주유소에서 충전을 하더라도 꽤 오랜 시간이 걸리기에
아예 새로운 배터리로 교체하는데 이렇게 새로운 배터리를
판매함으로써 이득을 취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기존의
판매 프로세스와는 다르게 부차적인 수입을 주 수입원으로
교체를 하는 과감한 방식을 선택하였습니다.
다시 자율주행으로 돌아와서 자율주행 자동차는
수 없이 많은 시범주행을 한다고 합니다.
AR, VR과 같은 기술들을 통해서 기존의 도로들의 데이터를
복사해서 자율주행 자동차가 달리는 트랙에 씌움으로써
시범운행을 반복함으로써 실제로는 다른 차량에
피해를 주지 않지만 가상에서의 주행 중에 사고가 나는 것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는 등, 다양한 데이터를 축적해서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혁신적이지만
새로운 기술에는 문제점이 뒤따르게 됩니다.
우선 안전성의 문제가 있습니다.
만약에 모든 사람들이 자율주행을 한다고 했을 때
사고가 발생한다면 그 책임을 누구에게 물어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면 그 책임은 운전자에게
있기 때문에 마땅한 배상을 요구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만약 자율주행 자동차를 운행한다면 자동차의 주인이 아닌
자동차를 실제로 주행하는 인공지능의 잘못이 됩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은 실제로 존재하는 주체가 아니기 때문에
손해배상을 요구하기 어려울 수 있기에 이에 대한
규제와 법을 확실히 제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로 인해서 택시기사나 일반 기사와 같이
운전과 관련된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문제는 모든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문제이기에 깊게 짚고 넘어가지는 않도록 하겠습니다.
기술적 문제 중 또 한가지는 만약 위급상황에서
누군가는 피해를 받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그 판단을 어떻게 할 것인가, 트롤리 딜레마라고 부르는
이러한 문제점도 대두될 수 있습니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술을 최대한 완벽하게 구사해서 이러한 위험한 상황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세상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성능 정리 - CPU에 대하여 (0) | 2019.09.03 |
---|---|
투자 은행에 대하여 (0) | 2019.09.02 |
생산량과 소득에 대하여(2) (2) | 2019.08.31 |
국정감사와 정부의 형태 (1) | 2019.08.30 |
IOT에 대하여 - 모든 것이 연결된 시대가 온다 (0) | 2019.08.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