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공부

투자 은행에 대하여

by 정글왕 안병만 2019. 9. 2.

오늘은 투자은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은행은 우리에게 돈을 빌려주고

우리가 예금,적금을 들 수 있는 상업은행 혹은 예금은행입니다.

하지만 우리 눈에 띄지 않는 또 하나의 은행

투자은행이 있습니다.

바클레이스 캐피털과 같이 상업은행을 모회사로 두는

투자은행이 있고 상업은행과 같은 브랜드 네임을

쓰며 자매회사로 있는 투자회사들이 많이 있습니다.

본래 투자은행은 19세기에 상업은행과 투자 업무를 같이 하는

유니버셜 은행의 일부로 존재했습니다.

미국의 경우도 경제 대공황 이후 무분별한 투자를 막기 위해

글래스 스티걸 법을 만들어서 1933년부터는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을 따로 운영하였습니다.

하지만 1999년 이 법을 철폐하면서 이 철폐는

2008 미국 경제 대위기의 원인 중 하나가 되기도 합니다.

 

영국의 대형 투자은행 바클레이즈 캐피탈

 

그렇다면 투자은행은 어떤 걸 하는 곳일까요?

투자은행의 목적은 기업이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성하는 것을 돕는 것입니다.

고객 기업이 주식과 회사채를 발행하는 것을 돕고

기업을 대신해서 판매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때 투자은행은 소액투자자가 아닌 거대한 펀드와 같은

기관 투자자들을 상대로 거래를 하고 소액 개인 투자자들의

돈을 모은 뮤추얼 펀드 등으로 거래를 진행합니다.

이렇게 고객 기업을 돕는 것뿐만 아니라 이윤을 위해서

투자은행 자사의 자금으로 주식과 채권을 팔기도 합니다.

이를 자기 자본 거래라고 부르고 기업의 인수합병을 도와서

이윤을 창출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합니다.

 

1990년대 이후부터 투자은행은 담보화 부채 상품이나

파생상품과 같이 새로운 아이템을 만들기 시작하고

이를 활용하여 엄청난 이익을 만들어냈습니다.

기존의 자기 자본 거래나 인수합병에 비해서

상당히 많은 돈을 벌 수 있었기 때문에

투자 은행들은 앞다투어 새로운 아이템을 만들어냈습니다.

담보화 부채 상품은 집, 자동차, 신용카드, 학자금 등등

다양한 크고 작은 대출들을 묶어서 아주 커다란

합성 채권으로 만든 것입니다.

이렇게 묶어두는 가장 큰 이유는 여러개를

묶어둠으로써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낮은 채권도

신뢰도가 좋은 채권과 섞어서 괜찮은 신뢰도로 평가받고

상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결과, 제 게시글에서 여러 번 등장한

2008 미국 경제위기가 찾아오게 된 것입니다.

혹자는 이러한 새로운 상품들을 금융혁신이라고 하며

이런 새로운 금융 시스템이 더 효율적이고 안전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이 시장의 자유는

스스로 적절한 가격을 책정한다고 한 것과 같이

계약의 자유를 보장하면 금융 시장의 주체들이

스스로를 위해 위험을 평가하고 자산 가격을

효율적으로 매길 것이라고 생각한 것입니다.

하지만 개개인이 판단하기에는 너무나도 어려울 정도로

파생상품들이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면서

이에 반대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많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들은 금융 분야에서는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오늘은 투자 은행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투자란 것은 어렵지만 반드시 알아야 하는 분야입니다.

무작정 어려운 투자에 뛰어들기 전에 역사적으로

투자와 관련되서 있었던 일들을 살펴보고 기본부터

천천히 다지고 시작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앞으로 투자에 대한 기본들에 대해서 설명해드리면서

연관된 사건들이나 현재 동향에서

어떤 부분과 연관성이 있는지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