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양자암호통신
에 대해서 얘기를 나눠보겠습니다.
최근 세계 경제의 중심이자 미국의 중심인
뉴욕 월스트리트 금융정보를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서
미국은 뉴욕에서 뉴저지를 잇는 미국 최초의
양자암호통신망을 구축하는 계획을 세우는데
한국의 SK 자회사 IDQ와 함께 한다고 발표를 하였습니다.
SK는 5G상용화 최초에 이어서 양자컴퓨팅 영역에서도
리더가 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양자암호통신, 양자컴퓨팅이란 무엇일까요?
마블의 떠오르는 히어로 앤트맨이 양자역학의 결과물이란
것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계실겁니다.
여기서 양자란 쉽게 말해서 물질의 최소단위입니다.
양자컴퓨팅에서의 양자도 비슷한 의미입니다.
기본 컴퓨팅의 최소 단위는 비트였지만
양자 컴퓨팅은 그보다도 작은 큐비트로 측정됩니다.
양자컴퓨팅의 장점으로는 한 개의 처리장치에서
여러 계산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처리량과 속도가 기존의 컴퓨터에 비해
굉장히 뛰어납니다.
현재 미국의 소프트웨어회사 IBM의 경우에는
20큐비트 시스템을 공개했고
내부적으로는 50큐비트까지 개발이 성공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기술적인 얘기를 추가하자면
양자암호통신은 양자기술로 생성한 암호키를
송수신하는데 이 때 패턴 분석이
불가능한 무작위 숫자로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블록체인에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
난수를 만들듯이 무작위의 숫자를
만드는 것입니다.
그래서 누군가가 이 정보에 접근하려고 하면
그 순간 바로 값이 변하기 때문에
해킹을 하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누구나 생각할법한 것이 그렇다면
양자컴퓨팅의 처리속도라면 저 난수의 변화를
예측해서 해킹이 가능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하실겁니다.
양자컴퓨팅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예측이
가능할지언정 정보값이 변화가 되면
그 기록이 남게 되고 여기에 블록체인 기술까지
엮게 된다면 사실상 해킹이 거의 불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에 반해 우리나라는 2014년에 미래창조과학부가
'양자정보통신 중장기 추진 전략'을 발표했지만
너무 시기상조라는 반응을 얻으며 무산되었고
2016년에는 '양자정보통신 중장기 기술 개발 사업'을
기획해서 투자를 받으려 했지만 이마저도 좌절됩니다.
2019년이 된 이제서야 뒤늦게 반도체를 뒤이을
미래 먹거리라며 양자컴퓨팅 사업에 뛰어든다고 발표했습니다.
허나, 2023년까지 5큐비트 시스템을 가동하는 것이
목표인데 이는 IBM의 1/10밖에 되지 않는 수준으로
사실상 거의 경쟁이 되지 않는 수준이라고 바라봐도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적인 사실이라면
양자컴퓨팅에는 5G의 데이터 처리속도가 생명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5G의 선두주자인 한국은 충분히
이점을 가지고 있고 현재 해외에서 활동하는
양자컴퓨팅 전문가들이 꽤 많기 때문에 이들을
섭외해서 진행한다면 목표치보다도 더 높은
성과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양자암호통신은 금융정보뿐만 아니라
스마트팩토리, 자율주행차와 같이 고도의
처리능력과 보안이 필요한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될 것인데 이 때도 역시 5G가 굉장히 핵심적인
기술이 될 것이기 때문에 한국은 현재 5G를 주도하는
이 흐름을 가지고 이후의 기술들에 대한 선구자가 될 수
있도록 과감한 투자를 해야 하고
정부 또한 보수적인 태도를 취할 것이 아니라
미래 산업을 위해서는 과감히 투자하고 기업들을
지원해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LG전자와 같은 전자산업,
KT, SKT,LG의 정보통신산업은
한국이 세계 TOP입니다.
하지만 점차 중국의 미친듯한 성장과 함께
중국정부주도하에 기술성장이 엄청나기 때문에
한국이 현재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아니 더
올라가기 위해서는 현재 가지고 있는 기술적 우위를
절대로 놓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흔히들 말하는 '초격차'를 느끼게끔 현재보다 더
혁신적으로 도전하고 미래를 위해 기술자들을
양성하는 과정이 하루빨리 이루어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세상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일부 중단 - 저금리와 예대율 규제속에서 시중은행은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는가 (0) | 2019.10.23 |
---|---|
중국 경제성장 하락 - 한국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0) | 2019.10.22 |
개인정보 보호의 발전 - 개인정보 등급제와 개인정보 비식별화 (0) | 2019.10.18 |
중국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 구축 - 중국은 세계의 주인이 될 준비를 하고 있다 (0) | 2019.10.17 |
중동지역의 현황 - 폭풍과 협정의 연속 (0) | 2019.10.17 |
댓글